변수에 접근하는 절차 >>> a=1 >>> def scope(): a=2 print(a) >>> scope() 2 함수 스코프 내에서 가장 먼저 변수를 찾음 만약, 함수 스코프 내에 변수가 없을 경우는 -> 전역 스코프에서 변수를 찾음 >>> a=1 >>> def scope(): print(a) >>> scope() 1 지역변수와 전역변수 이름이 같을 경우 전역변수가 가려져 접근 못할 수 있음 고급 함수 사용법 중첩 함수 : 함수 내에 중첩함수를 선언해 사용 가능 1. 중첩함수를 포함하는 함수 내에서만 호출이 가능함 2. 중첩함수를 포함하는 함수의 스코프에도 접근이 가능함 -> 중첩함수는 함수 내에서 직접 선언해 호출할 수도 있고, 함수의 매개변수로 함수 인자를 전달받아 함수 내에서 호출해서 사용 가능 ..
1. 함수의 개념과 목적 효율적이고 구조화된 프로그램 생성 함수 : 프로그램에서 어떤 특정 기능을 수행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재사용 구조의 코드 부분 함수의 장점 1. 하나의 큰 프로그램을 여러 부분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짐 2. 동일 함수를 여러 곳에서 필요할 때마다 호출할 수 있음 3. 수정이 용이함 함수 사용 방법 30 2. 함수 호출 및 선언 print( ) 함수의 경우 ()안에 인자를 전달 >>> a,b=2,3 >>> c=a+b >>> print("내장함수 str.format() 과 print()를 이용한 c의 결과 출력: {0}".format(c)) 내장함수 str.format() 과 print()를 이용한 c의 결과 출력: 5 str.format() 함수 호출문이 ..

# Step 3. ( 트리형태의 출력문) 출력하기 # * # *** # ***** # ******* # ********* # *********** 공백 문자열과 별표 문자열 두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만들기 i, k = 5,1 while i >= 0: print("{0}{1}".format(" " * i, "*" * ( 2 * k - 1))) i = i - 1 k = k + 1 i = 행의 공백 문자 개수 k = 별표 제어 변수 print()문에서 출력에 대한 포맷 작성 공백문자는 format(" " * i) 함수를 이용해 공백문자를 i개 만큼 출력하는 위치 지시자 작성 그 후 별표 출력에 대한 포맷 {0} 작성 별표 출력의 갯수를 정하기 위해 (2*k-1) 지정 그 후 두 번째 위치 지시자 {1} 작성 ..

break문과 continue문 앞서 설명한 for문 : 순회할 객체의 마지막 항목까지 반복 while문 : bool 값을 반환하는 조건식이 False를 반환할 때까지 반복 이외에 break문 : 논리적으로 반복문을 빠져나갈 때 사용. 그 자리에서 바로 반복문이 종료됨 continue문 : 이후 코드는 건너뛰고 반복문을 이어서 계속 실행할 때 사용 break문 예제 사용자의 입력값이 문자열 "q"이면 반복문을 빠져나오는 코드 >>> answer="" >>> while True: answer=input("명령을 입력하세요.\n'q'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.:") if answer=="q": break print("'{0}'를 입력하셨습니다.".format(answer)) >>> print("프로그..

1. 반복 수행을 위한 for문 2. 중첩된 for문 3. 반복 수행을 위한 whlie문 4. 반복을 제어하기 위한 break문, continue문 1. for문 : 리스트, 튜플, 사진, 문자열과 같은 객체 항목들을 순회하며 특정 작업을 반복해서 수행하기 위해 사용 for 문의 문법 for문은 순회할 객체의 첫 번째 항목부터 마지막 항목까지 차례로 변수에 대입함 for 변수 in 순회할 객체: 명령문1 명령문2 들여쓰기는 탭 또는 공백을 일관되게 사용할 것을 권장함 2단 구구단 출력 코드 >>> dan=2 >>> print("%d x %d = %2d" % (dan,1,dan*1)) 2 x 1 = 2 >>> print("%d x %d = %2d" % (dan,1,dan*2)) 2 x 1 = 4 >>> p..

2. 관계, 논리, 비트 연산자 값을 비교하는 연산 관계 연산자 >>> a,b=3,2 >>> print(a==b) False a=3, b=2로 동등연산의 값 False를 출력 >>> print(a!=b) True a=3, b=2로 비동등연산의 값 True를 출력 비교연산의 결과 >>> print(a>b) True >>> print(a>> print(a>=b) True >>> print(a>> a=10 >>> 8> 8> a=10 >>> a>7 and a>> (a>7) and (a>> 7> gender,age="male",20 >>> gender=="female" and age>=18 False >>> gender=="female" or age >=18 True >>> gender=="female" or a..

if~else문의 문법 if 조건식 : 명령문 명령문 # True일 때 실행할 명령문 명령문 else 키워드 : 명령문 명령문 # False 일 때 실행할 명령문 명령문 if~else문의 활용 >>> score=80 >>> if score>=60: print("합격입니다.") else: print("불합격입니다.") 합격입니다. 이때, if문과 else문은 상호 배타적으로 동작하므로, if문이 실행될 때 else문의 블록은 실행되지 않음 특정 조건에 따라 변수의 값만 변경이 필요한 경우 >>> result="합격입니다."if score>=60 else "불합격입니다." >>> print(result) 합격입니다. 3. if~elif~else문 : 2개 이상의 다중 조건을 처리하고자 할 때 사용 if~el..

if ~ else 문 if ~ elif ~ else 문 1. 특정 조건에 따른 명령문 수행을 위한 if문 2. 상호 배타적 명령문 수행을 위한 if~else 문 3. 다중 조건을 처리하기 위한 if~elif~else 문 1. if문 : 어떤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, 명령문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 if문의 문법 if 조건식 : 명령문 명령문 # 코드블록 구성 명령문 if문 조건식이 True일 경우 수행할 명령문을 코드 블록으로 구성해 기술 if문의 활용 점수가 60점 이상일 경우 합격메시지를 출력하는 코드 >>> score=80 >>> if score>=60: print("%d 점" % score) print("합격입니다.") 80 점 합격입니다. 정수형의 값 80 저장 score가 60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..